KCSG 소식

  1. home
  2. 알림
  3. KCSG 소식
뉴스레터 간행물 주요 연구성과 미디어 연구회동정

[KCSG AL19-17] ESMO Open. 2024 Sep;9(9):103668.

  • 작성자 관리자
  • 등록일 2025-03-20
  • 조회수 50
첨부파일
▶ KCSG AL19-17
A phase II study of tepotinib in patients with advanced solid cancers harboring MET exon 14 skipping mutations or amplification (KCSG AL19-17)

저널: ESMO Open. 2024 Sep;9(9):103668.

 

제1저자 강은주 (고려대 구로병원)

 

Q. 연구의 배경은?

이제 NGS는 암 환자 진료과정에서 진단 및 치료 결정의 중요한 도구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연구 계획 당시 K-MASTER 사업으로 많은 고형암 환자들의 NGS 검사가 시행되고 있었기 때문에 이 결과를 이용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Q. 연구의 목적은?

본 연구는 NGS에서 MET exon 14 skipping mutation 이나 MET 유전자 증폭이 있는 다양한 고형암 환자에서 MET tyrosine kinase 억제제인 tepotinib의 치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기획되었습니다. 


Q. 연구 방법?

K-MASTER나 다른 기관 NGS 결과에서 MET exon 14 skipping mutation 이나 MET 유전자 증폭이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2상 임상 시험입니다. 분석은 전체 환자뿐만 아니라 MET exon 14 skipping mutation 군과 MET 유전자 증폭군으로 나누어 분석했습니다.


Q. 연구 결과?

총 35명의 환자가 등록되었습니다. 24명의 비소세포폐암과 11명의 기타암 환자가 등록되었고 전체 환자의 median PFS는 8개월, median OS는 14개월이었습니다. MET exon 14 skipping mutation 이 있는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median PFS는 9개월, median OS는 17개월이었으며, MET 유전자 증폭이 동반된 환자의 median PFS는 7개월, OS는 10개월이었습니다. 폐암 환자의 경우 국내 환자들의 데이터를 얻을 수 있어 의미가 있었고, 폐암이 아닌 기타암의 경우 대부분 MET 증폭을 동반한 환자들이었는데 반응율이 71.4%여서, MET 증폭이 있는 폐암 이외의 고형암의 경우에도 tepotinib의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겠다는 결론을 얻었습니다.


Q.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은?

여러모로 어려운 연구였는데 잘 진행될 수 있도록 지휘해 주신 충북대학교 이기형 교수님, 또한 약제를 지원해주신 Merck사와, 적극적으로 환자를 등록시켜 주시고, 참여하지 않는 기관임에도 연구 기관으로 애써 대상자를 전원시켜주신 공동 연구자 교수님들, 연구 진행에 중요한 조언을 해 주신 고려대 안암병원 이수현 교수님, 데이터 정리와 통계 분석을 도와주신 충북대학교 양예원 교수님 감사드립니다. 부담이 많았을텐데 행정 업무를 잘 처리해 주신 충북대학교병원 CRC 선생님 및 각 병원 CRC 선생님들과 본 연구에 참여해주신 환자, 보호자분들께도 깊은 감사 인사를 드립니다. 앞으로도 KCSG 구성원들의 힘을 모아, 암으로 고통받고 있는 환자분들의 삶을 개선시킬 수 있는 연구를 지속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