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SG 소식

  1. home
  2. 알림
  3. KCSG 소식
뉴스레터 간행물 주요 연구성과 미디어 연구회동정

[KCSG PC21-07] Supportive Care in Cancer

  • 작성자 관리자
  • 등록일 2024-10-16
  • 조회수 17
첨부파일
▶ KCSG PC21-07
Clinical implication of megestrol acetate in metastatic gastric cancer: a big data analysis from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HIRA) database

저널: Supportive Care in Cancer.

 

제1저자 고세일 (창원경상대병원

 

Q. 연구의 배경은?

전이성 위암 환자에서 악액질은 흔히 발생하며, 이는 생존율 감소 및 치료 효과 저하와 관련이 있습니다. 전이성 위암 환자에서 식욕부진 및 악액질을 관리하기 위해 메게스트롤 아세테이트(megestrol acetate, MA)가 흔히 처방됩니다. 이전 연구에서 MA가 생존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정맥 혈전 색전증 (VTE) 발생률을 높일 수 있음이 제기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실제 진료 현장에서 MA가 어떻게 처방되는지, 그리고 생존율 및 VTE 발생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대규모 임상 정보는 제한적입니다.


Q. 연구의 목적은?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전이성 위암 환자에서 MA의 처방 패턴을 조사하고, MA 처방이 생존율 및 VTE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었습니다.


Q. 연구 방법?

이 연구는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HIRA)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2014년 7월부터 2015년 12월 사이에 진단된 전이성 위암 환자 1938명을 대상으로, 각 환자 당 최대 3년 동안 후향적으로 추적 관찰하였습니다. MA 처방 여부에 따른 환자의 기본 특성, 처방 패턴, 생존율, VTE 발생률을 분석하였습니다.


Q. 연구 결과?

환자 특성: 연구에 포함된 총 1938명의 환자 중 1260명(65%)이 MA를 처방 받았습니다. 고령 환자에서는 MA 처방이 더 많이 이루어졌으며, 이들 중 상당수는 장기간 MA를 처방 받았습니다. 반면, 고식적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경우에는 MA 처방은 많이 이루어졌지만, 이들 중 장기간 MA를 처방 받은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 고식적 항암화학요법을 받지 않은 경우에는 MA 처방이 적었지만, 처방된 경우에는 장기간 사용되는 경향이 더 두드러졌습니다. MA 일일 평균 투여량은 주로 600 ? 800 mg(43%)이었으며, 800 ? 1000mg(28%), 400 ? 600 mg(20%)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생존율: 고식적 항암화학요법을 시행 받은 환자들 중에서는 MA 처방이 생존율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습니다. 단변량 분석에서 고식적 항암화학요법을 받지 않은 환자들에서는 MA를 처방받은 그룹이 비처방 그룹보다 더 긴 생존 기간을 보였지만, 다변량 분석에서는 이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습니다. 


VTE 발생률: MA 처방 그룹에서 VTE 발생률은 4.3%였으며, 비처방 그룹에서는 2.9%였습니다. 그러나 다변량 분석에서는 MA 처방이 VTE 발생의 유의미한 예측 인자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MA 처방 기간 및 일일 평균 투여량이 VTE 발생에 미치는 영향도 다변량 분석에서 유의미하지 않았습니다


Q.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은?

이 연구는 MA가 전이성 위암 환자에서 빈번하게 처방되며, 연령 및 고식적 항암화학요법 시행 여부에 따라 다양한 패턴으로 처방됨을 보여줍니다. MA 처방 여부는 생존율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MA 처방 그룹에서 VTE 발생률이 다소 높았던 것이 관찰되었으나 다른 인자에 의한 영향을 보정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생존율 감소 및 VTE 발생을 우려하여 MA 처방을 일률적으로 제한할 필요는 없으며, 단 VTE 고위험 환자에서 모니터링과 함께 주의하여 처방할 필요가 있다고 결론지었습니다.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임상 정보에 대해 제한적인 HIRA 데이터베이스의 본질적 특성으로 인해 치료의 직접적인 효과 및 기타 부작용을 평가하지 못한 점이 있겠습니다.


논문원문 보러가기 ▶

목록